그림이 주는 행복한 마음... 오종철 작가는 시각적으로 행복한 그림을 그리는 작가이다. 집안과 사무실에 그의 그림을 걸어두면 나갔던 행복도 다시 찾아올 것 같다. 예술의 목적중 하나가 사람들에게 위안과 기쁨과 행복을 주는것인데 작가의 심성과 비슷한 안빈낙도의 삶을 작품속에 투영시킨 그의 작품은 늘 행복한 삶을 표현하는데 밝고 희망차고 꽃 피는 봄 날을 그려내어 너무 빠르게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위안과 충만한 삶의 본 모습을 되돌아 보게한다. 오종철 작가의 그림은 참으로 행복한 그림이자 한 편의 시가 절로 나오는 탁월함이 담겨있다.
[ 삶의 풍경 ]
계수나무 꽃은 저절로 피고
고요한 봄 산은 텅 비어있네
달빛 밟아 고향에 간 이 몇인가?
지는 달만 고향의 강 적시네
강물은 꽃이 핀 들을 에워돌고
어느 봄 강엔들 달 아니 밝으리
울긋불긋 꽃마을의 느낌이 행복한 전원 마을의 향수를 보여준다
삶은 그곳에 앉은 먼지를 털어내 머리맡에 두고 가끔이라도 펼쳐볼
여유를 주지 않는다.
삶에 지쳐 가끔은 위로를 받고 싶고 어딘가로 훌훌 날아가 버리고 싶다는
개인적인 기억과 풍경이 주는 충만한 행복으로 기록된 작품이다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잃어버린 것들을 동화적인 설정을 통해
역설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며
우리들 마음 깊이 담겨있는 이상향을 터치해주며 자신만의 네버랜드를 떠올려 보고자 한다
오종철(吳宗哲)
1957년생
[학력]
-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수상]
- 제12회 대한민국 국제미술대전 대상
- 동아일보 미술대전 입선
- 한양미술대전 은상
- 유엔 세계평화미술대전 최우수상
- 전일미술대전 일본국, 특선
- 천지국제미술대전 최우수상
- 한·중미술교류전 최우수상
[개인전 및 단체전]
-서울갤러리등 개인전 15회
-해외전시 및 그룹전 250여회
[평론]
동서양을 막론하고 예술의 기본은 회화(繪畵)이다.
멀리는 고대 암석화를 시작으로 인간은 무엇인가를 그려오면서 자연과의 교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 왔다.
사람은 깨끗한 자연, 순수한 자연을 좋아한다.
그러면서 실제 자연보다 더 좋은 그 무엇인가의 가치가 존재하고 있다고 믿으며
실존하는 아름다움보다 더 아름다운 물상들을 화가들은 가슴속에 그리고 머릿속에 넣고
새롭게 창작하여 상상속의 아름다움을 그렸을 것이다.
이것들이 바로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이것은 아름다움, 곧 美라고 표현하고
美의 경지를 넘어서서 善의 경지로, 선의 경지를 넘어 眞理로 통하게 된다.
결국 인간의 가장 높은 단계인 진리를 위한 추구는 미를 통해서 가능하게 된다.
화가 오종철의 그림세계는 이러한 참된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해서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들이 생각하는 편한 마음의 고향을 화폭에 그려왔다.
그래서 꽃과 나무가 있고 물이 흐르고, 새가 하늘을 날아다닌다.
복잡하지 않게 다만 우리가 실제 저 그림들 속에 들어가 한 순간을 즐겨도 좋을만한
풍광을 그리고 싶어 한다.
누구나 할 것 없이 늘 사람들과 같이 살지만 작가 오종철은 고독해 하는 군중속의
외로운 삶들이 편안한 휴식처를 찾고 떠날 수 있는 그런 그림을 추구하고 있다.